쇼핑몰 광고에 이게 왜 필요한데? 마케팅 용어 -2 '키워드'

키워드는 다다익선이다.

많이 알고 있을수록 유리하다. 하지만 이 유리하다는것은  동시에 롱테일로 진행하는 전략이 있다는 뜻이다.

비중 있는 키워드에 광고비를 집중해서 들어가는 전략도 있다. 하지만 집중해서 들어갈 경우 제품의 단가 산정이 매우 중요하다. 저렴한 상품에 이렇게 들어가는 순간 그 회사는 자선기업이 된다. 네이버와 메타에 용돈 주고 싶으면 이렇게 해라.

검색 엔진 사이트들이 데이터 트렌드를 공유하기 시작하면서 쇼핑몰들은 '키워드'에 집중하기 시작했다.

 

키워드의 확장성

종류/용도 : 나비장, 여행영어, 산업용냉각기, 레인부츠, 꿀잠매트리스

형용사/명사 : 예쁜, 저렴한, 베스트, 1등, 마약ㅇㅇㅇ (네이버는 비선호)

동의어/대체어/오타어/띄어쓰기 : 카페=까페

트렌드 : 치랭스, 추석맞이(시즌성), 디톡스(이슈화), 요거트메이커(유튜브)

 

대표 키워드 검색 후 연관키워드, 추천검색어, 자동완성 검색어를 참조한다.

이를 참고하면 고객이 원하는, 보고 싶어하는 진짜 문구도 작성할 수 있게 된다. 광고용 키워드 뿐만 아니라 소비자 니즈도 파악할 수 있으니 좋다. 위 세가지는 각 플랫폼마다 비슷한 구조로 추천한다. 다만 구글은 사용자맞춤 결과이기 때문에 정보성과 쇼핑성이 섞여 노출되므로 유의하자.

 

네이버쇼핑  '쇼핑연관검색어'
네이버쇼핑 자동 검색어

 

네이버 '애플워치스트랩'의 연관검색결과

 

 

 

 

 

segregation : 성별, 지역, 나이, 결혼유무, 사용환경 (ex. 20대 중반 여자의 모바일 방문율, 경쟁사 파악도 이렇게 하면 좋다. 요즘 20대의 결혼율이 7%밖에 되지 않는 것을 감안하자. 여기서 확장사고가 더 필요하다.)

targeting : 타겟 (ex. 저렴한 요거트메이커로 가성비와 건강이 넘치는 그릭요거트를 즐겨보세요!)

positioning : 고객에게 박히는 우리의 이미지 ( ESG, 1:1서비스 등)

 

-차별성, 장점, 프로모션을 광고에 써야한다.

=>이벤트, n% 할인, ㅇㅇㅇ서비스, 후기사진, 검색랭킹, 1+1 등

 

-이슈성, 시즌성 문구도 좋다. (화장품과 건기식은 주의)

=>화이트데이, 추석맞이, 설특집, 크리스마스, TV프로그램 유행, 기념일 선물, 프러포즈 등

 

절대적으로 좋은 랜딩페이지는 없다.

다양하게 설정해서 AB테스트를 해보자. 이 광고가 내가 보기에 좋아 보이지만, 실제로 진행했을 때 소비자들은 다르다. 흐름을 봐야 한다. 내가 무슨 광고를 클릭하고, 어떤 광고들이 소비자의 니즈를 자극 하는지 알아야 한다.

예전에 네이버에서 롱테일광고를 허용 했던 적이 있는데, 이 때 50원짜리 키워드들을 잔뜩 등록하고, 거기에 파생하여 확장키워드까지 조합하여 등록했을 때 전단지 효과를 톡톡히 했었다. 하지만 네이버에서 이를 막아 한 상품ID 당 10개로 제한이 되었고, 진행 전 검수까지 까다로워졌다.

그래서 기간을 나누어 그룹별로 광고를 진행하여 테스트 해야한다. 

 

랜딩페이지 : 키워드, 광고문구, 상품구성, 상세설명 포함

 

매력적인 광고문구는 클릭율을 높이고, 클릭율이 높아지면 광고클릭지수의 품질이 올라간다.